728x90
반응형
지원하는 OS : redhat(6.대의 명령어도 7.대만의 명령어가 새로 생겼다.), centOS
- 모든 버전에서 지원
ubuntu, suse 는 특정 버전에서만 검증되었다.
3, 4 번끼리 연결, 5, 6번끼리 연결
--> 이중화 작업을 할거면 3번에 하면 4번에 하고, 5번에 하면 6번에 해야한다.
핫빗은 물리적 어댑터에 매핑을 시켜놓은 가상 네트워크 스위치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리눅스를 마운트를 시킬 때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 오류가 날 수 있다.
윈도우로 따지면 행이라던지 그런 상황에서 발생한다.
리눅스에서도 커널패닉이라고 행같이 커널단에 문제가 생기는 케이스도 발생할 수 있다.
#커널 초기화 단계
여러가지 커널이 순차적으로 구동이 된다.
(프로세스는 일반 프로세스와 구분되도록 []로구분한다., 주로 PID번호가 낮게 배정)
일반적인 프로세스는 내렸다 올렸다 할 때마다 PID값이 변경된다
디렉토리 계층 구조 - /가 SDA영역으로 확인하면 된다.
*볼륨 : 볼륨은 말그대로 실제 물리적인 하드를 볼륨, 그게 서버에 장착되면 그게 SDB, SDC라고 순차적으로 OS에서 할당된다. 그거를 디바이스 장치라고 칭한다.
이 장치들을 특정 디렉토리에 마운트시키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디렉터리 | 기능 |
dev | 장치 파일이 담긴 디렉터리이다.(기본적으로 dev 밑에 모든 볼륨이 다 들어가있다.) |
home | 사용자 홈 디렉터리가 생성되는 디렉터리이다.(계정에 대한 홈 디렉토리가 여기에 들어가게 된다.) |
media | CDROM이나 USB 같은 외부 장치를 연결(마운트라고 함)하는 디렉터리이다.(CD혹은 USB를 넣었을 때 마운트가 되는 디렉토리) |
opt |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렉터리이다.(3rd파티 솔루션을 설치할 경우에 여기다 설치한다. 기본 홈 경로 자체가 opt밑에 mccs를 여기로 설정하게 되어있다.) |
root | root 계정의 홈 디렉터리이다. 루트(/) 디렉터리와 다른 것이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한다.(최상위 디렉토리로 보면 된다.) |
sys | 리눅스 커널과 관련된 파일이 있는 디렉터리이다. |
usr | 기본 실행 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 헤더 파일 등 많은 파일이 있다. 참고로 usr은 Unix System Resource의 약자이다. |
boot | 부팅에 필요한 커널 파일을 가지고 있다. |
etc | 리눅스 설정을 위한 각종 파일을 가지고 있다. |
lost+found | 파일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복구할 경우, 문제가 되는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로 보통은 비어있다. |
mnt | 파일 시스템을 임시로 마운팅 하는 디렉터리이다. |
proc | 프로세스 정보 등 커널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이다. (메모리 CPU 실제 서버에 대한 하드웨어 스펙 정보 등이 여기에 담겨있다.) |
run | 실행 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이 저장된다. |
srv | FTP나 Web 등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
tmp | 시스템 사용 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은 재부팅 하면 모두 삭제된다. |
var | 시스템 운영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나 로그 등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이다. (시스템 로그파일이 위치하고있다. 이 영역은 OS설치시 SDA라는 볼륨 하나를 통으로 설치했는데, 그러면 var영역도 root 볼륨 안에 생성이 된다.) (항상 system 영역이 꽉 차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특정 볼륨에다가 할당해서 사용한다.) |
728x90
반응형
'System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lvm 삭제 (0) | 2023.04.14 |
---|---|
리눅스 lvm 기초 (0) | 2023.04.14 |
리눅스 hostname 변경 방법 (0) | 2023.04.14 |
방화벽(centos 6 포트 허용) (0) | 2023.04.14 |
AD 정리, 서버 관리 (1) | 2023.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