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xt4, xfs 파일 시스템 체크 및 복구 방법
- 파일 시스템 점검 및 복구(e2fsck)
- ‘e2fsck’ 명령어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 점검 및 복구를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fsck’의 확장 명령어라고 할 수 있으며,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거의 모든 종류의 파일시스템의 점검과 복구를 가능케하는 명령어이다.
- ‘e2fsck’ 명령어 사용 방법
- e2fsck -f /dev/sdb1
-f : 파일시스템이 이상이 없더라도 강제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점검 할 때 사용
- e2fsck -j ext3 /dev/sda1
-j :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작업할때 사용 하는 옵션. 저널링 파일 시스템(보통 ext3)를 대상으로 작업할때 옵션이 아니라 필수 해줘야 하는 옵션
- e2fsck -j ext3 -fv /dev/sda2
-v : 점검내역 상세 보기(ext3의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된 sda1파티션을 강제로 점검하면서 상세내역도 보는 명령)
- e2fsck -b 98304 -p /dev/sda1
-p : 오류 있는 파일 시스템의 자동 복구
- e2fsck -b 98304 -y /dev/sdb1
-y : 수행 과정의 질문에 모두 yes라 응답하는 옵션 - e2fsck -b 98304 -n /dev/sdb1
-n : 수행 과정의 질몬에 모두 no 로 응답하는 옵션 - e2fsck -j ext3 -cv /dev/sda2
(/dev/sda2 파일 시스템내의 배드블록이 있다면 배드블록 아이노드에 마킹하는 작업)
-c : 점검 과정에서 찾게된 베드블록을 마킹하여 사용치 못하게 하는 옵션
- ‘e2fsck’명령어로 복구되지 않는 경우 ‘백업 슈퍼 블록’을 이용하여 파일 시스템 복구
- dumpe2fs /dev/sda1 | grep superblock
: 슈퍼 블록 위치 파악
- e2fsck -b 57345 -f -j ext3 -y /dev/sda1
: sda1 파티션의 파일시스템을 4번째 슈퍼블록 복사본을 이용하여 강제로 복구 실행
(모든 질문에 ‘yes’ 응답처리 : -y 옵션)
---------->>>>>>>>>>>>>>>>>>>>>>>>>>>>>>>>>>>>> xfs_repair : xfs파일시스템 복구 방법
스토리지 장애 디스크 교체 후 XFS 볼륨 마운트 시 아래와 같은 에러 발생
"mount: structure needs cleaning"
해당 문제는 주로 XFS 파일시스템 환경에서 발생함.
XFS파일시스템의 경우 실제 데이터와 metadata 에 대한 link 정보를 log 파일에 담아 저장하고, 해당
로그파일을 통해 빠른 복구가 가능함.
일반적으로 복구하는 방법은 xfs_repair -n <device> 명령으로 가능함.
하지만 xfs_check 혹은 xfs_repair 등으로 복구가 안되고, mount 를 수행할때
"mount: structure needs cleaning"
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함.
이런 경우는 대게 xfs log 파일이 손상되었을때 나타나는 증세임.
이때는 기존 무결성이 깨져 버린 log 파일을 버리고, 새로 데이터 구조와 meta 정보를 scan 하여
log 파일을 생성해 주어야 함. 해당 operation 은 아래 명령으로 가능함.
# xfs_repair -v -L <device>
16TB 의 용량을 repair 하는데 대략 5~10분 정도 소요됨. ext3 환경이람면 아마도
6시간 이상은 소요될듯..
xfs_repair 를 수행하면 간혹 손실되는 데이터가 존재함. 손실 데이터의 확인은 해당 볼륨을 마운트
한 후, 해당 볼륨 최 상위의 lost+found 디렉토리에 저장됨.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된 데이터는 복구
가 어려움.
--------------------------->>>>>>>>>>>>>>>>>>>>>>>>>>>>> ext4 파일시스템 복구 방법
리눅스 시스템은 부팅시에 파일시스템을 자동으로 체크하고, 파일시스템이 손상이 입었을 때
fsck.ex4 명령으로 이러한 것을 점검하고 복구해줍니다.
사용법 : fsck.ext4 [-t 파일시스템유형] 파일시스템]
예) sdb7을 점검
fsck.ex4 /dev/sdb7
주의 : 파일시스템 점검은 마운트(mount)된 파티션에 대해서는 사용해선 않된다.
(검사할려는 파티션은 unmount 후 검사하도록 한다.)
'System 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DB 경로 확인(MSSQL - user, system db) (0) | 2023.04.16 |
---|---|
리눅스 gid, uid 값 변경하기 (0) | 2023.04.16 |
리눅스 root 계정 원격 접속 차단 방법 (0) | 2023.04.16 |
리눅스 tune2fs 명령어 사용법 (0) | 2023.04.14 |
리눅스 firewalld 사용하여 특정 IP 차단&제거 (0) | 2023.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