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Engineering32 리눅스 firewalld 사용하여 특정 IP 차단&제거 ‘firewalld’ 사용하여 특정 IP만 차단&제거 ‘firewall-cmd --state’ or ‘systemctl status firewalld’명령어로 상태 확인 특정 IP에 대해 해당 서버에 접근 차단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rich-rule=’rule family=”ipv4” source address=x.x.x.x reject’ 피드백을 보내주는 명령어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rich-rule=’rule family=”ipv4” source address=x.x.x.x drop’ 피드백을 보내지 않는 명령어 제거하기 sudo firewall-cmd --permanent –remove-rich-rule=’rule f.. 2023. 4. 14. 리눅스 /etc 내부 디렉토리 설명 /etc 내부 파일,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 쉘(Shell) 쉘이란, 사용자와 커널 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가 커널에 직접 명령을 내릴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즉, 쉘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커널에게 넘겨주는 일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쉘 프로그램은 ‘bash’이다. bashrc : bash 기동시에 실행되는 설정 파일(~/.bashrc)의 템플릿 ~/.bashrc가 개인용 환결 설정이라면 /etc/bashrc는 전체용(모든 사용자에게 영향을 끼치는) 환경 설정 파일이다. 세부 내용 확인 가능 hosts : 로컬에서 이름을 해결하기 위한 호스트명, IP 어드레스 정의 파일 연결 정의 확인 가능 inittab : 기동시의 런 레벨과 i.. 2023. 4. 14. 리눅스 bonding 구성 방법 Bonding 구성 방법 본딩 구성을 위한 네트워크 어댑터 추가 ‘ip a’ 명령어로 추가된 네트워크 확인 ‘nmcli connection’ 명령어로 UUID 값 확인 ‘lsmod |grep bonding’ 명령어로 본딩 확인 현재는 생성된 본딩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odprobe –first-time bonding’명령어로 초기작업 실행 ‘lsmod |grep bonding’명령어로 본딩이 확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i ifcfg-bond0’명령어로 본딩파일을 생성&설정 새로 추가된 network(ens224)를 생성&설정 ens192 파일도 동일한 형식으로 수정한다. 기존에 작성된 ifcfg-ens192는 백업파일로 저장 시스템 restart 진행 ‘ip a’명령어로 ens192.. 2023. 4. 14. 리눅스 raid 구성 테스트 -----------------------실습 RAID 1 디스크 1기가를 VM에서 추가하고 fdisk /dev/sde f로 1기가를 추가해준다. 정상적으로 묶었다. md0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묶여있는 구성 정보를 확인한다. Raid 1으로 묶여있고 볼륨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볼 수 있다. 파일을 묶어주고 포맷을 진행한다. 정상적으로 마운트 된 것을 볼 수 있다. 2023. 4. 14. 리눅스 raid 기초 RAID는 안전성, 성능때문에 디스크를 묶어서 사용. 종류는 0~6번 사실상 2,3,4번은 비 효율적이라 사용하지 않는다. 쓰더라도 0, 1, 5, 0+1, 1+0 한도 안에서만 사용한다. RAID 0 - 디스크 2장을 Stripe형태로 사용 RAID 설명 블로그 https://12bme.tistory.com/286 RAID의 종류와 구성방식 RAID 0 (많이 사용된다.) : RAID 0에는 Concatenate 방식과 Stripe 방식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1) Concatenate 방식 (두개 이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쓰는 방법) 장점: 디스크 기본 공간이 부족할 때 데이터는 보존하며 여분의 디스크를 볼륨에 포함하여 용량 증설이 가능하게 됩니다. 단점: RAID 0의 특성상 디스크 .. 2023. 4. 14. 리눅스 top 명령어 top 이라는 명령어로 작업관리자를 볼 수 있다. p : cpu 높은 순 정렬 shift m 하면 메모리 높은 순 정렬 PID값을 모두 볼 수 있다. kill로 특정 pid 값을 죽일 수 있는데 여기서도 죽일 수 있다. k누르고 보면 아래와 같이 강제종료 할 수 있다.(pid값을 입력하고 9번을 넣으면 강종) ** 상단의 좀비 프로세스를 확인해야한다. 2023. 4. 14. 리눅스 - 의존성 무시하고 rpm 설치 의존성을 무시하고 rpm 설치하기 Os다시설치 후 (버전 centos 7.6빼고) --> *** rpm -ivh --nodeps kmod ~~ 와 같이 사용해야 정상적으로 의존성 무시 설치가 진행된다. 2023. 4. 14. 리눅스 run level Run level 이란? runlevel 이란 runlevel 이란, 리눅스 시스템 관리의 용이함을 위하여 서비스의 실행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을 말함. 보통 0 ~ 6 까지 총 7가지 모드가 있음. 리눅스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0(정지), 1(싱글모드), 6(재시작)은 일치함. 낮은 레벨일수록, 시스템 시작시 불러오는 드라이버나 데몬 수가 적음. runlevel 은 높아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며, 부팅되면 0부터 시작함. reboot 명령어를 실행하면 runlevel 이 6이 됨. 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 시스템 종료를 의미. runlevel 0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은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 1 - Single user model 시스템 복원모드라고도.. 2023. 4. 14. 리눅스 lvm 삭제 LV 와 VG를 삭제한다. df -h를 통해 해당 LV, VG가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설정해 두었던. PV를 삭제한다. pvremove 명령어를 통해 삭제 진행 기존에 확인되던 PV가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sblk로 파티셔닝 된 디스크를 삭제한다. fdisk 명령어를 통해 삭제 진행 (> d 명령어) (순차적으로 하나씩 삭제 확인) sdc 디스크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삭제 진행 (수행된 작업을 저장하고 나오기 위해 w 명령어 사용) 디스크가 처음 생성할 때와 동일한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23. 4. 14.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