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9

리눅스 mysql & mariadb 설치 제일 많이 쓰는 오픈소스 DB yum 사용시 항상 yum clean all 실행 yum list 로 나오는지 출력 yum list|grep maria 데이터베이스 패키지 확인 설치된 상황 확인 서비스 항목이 모두 출력된다. 마리아DB 실행 systemctl start mariadb status로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수동실행 disabled 이쪽이 home 영역이라고 생각하면 된다.(data가 쌓이는 부분) mariadb가 아닌 mysqld 라고 나온다. mysqld 가 메인 프로세스이고, mysqld_safe는 mysql의 감시자 역할이다. mysqld 가 죽으면 safe가 살린다. kill -9 PID번호 로 강제로 죽이면 safe가 다시 바로 살려준다.(강제로 죽이면 DB가 깨질 수 있다... 2023. 4. 16.
ORACLE Linux 설치(xming 활용) 윈도우에서 리눅스로 파일 넘길 때 winscp 사용 mount -t cifs //10.10.0.5/iso3 /mnt -o username=gsho,password=password 해당 명령어로 마운트, 안되면 아래로 해당 파일을 내 노트북으로 가져오기 가져온 파일을 리눅스 / (여기선 루트, 원하는 경로 지정)로 복사 - 바이너리로 옮겨야 함 리눅스 DB(붉은 글씨)파일 확인 압축풀기 mkdir oracle_12cR2 unzip linuxx64_12201_database.zip /oracle_12cR2 명령어 실행하여 orcle_12cR2 디렉토리에 압축풀기 ui로 설치하기 위한 프로그램 다운 https://xming.softonic.kr/ 기본값으로 셋팅하여 설치 실행하여 기본값으로 다음다음 눌러주기 .. 2023. 4. 16.
Active/Standby 구조 MSSQL linked server 구성 MS-SQL의 링크드 서버 작업 - MSSQL에만 있는 기능 www.todaymart.com/75 MSSQL 은 연결된서버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를 이용하면 다른 네트워크의 데이터베이스를 원격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쿼리문을 작성해야 한다.(이중화 엔지니어가 아니라면 해당 기능을 모른다.) ########동작 방식 설명 하나의 마스터 키가 있으면 백업을 떠놓고 쿼리를 날려주면 데이터가 쌓이는 파티션에 하나의 파일을 액티브에서 떨궈진다. failover될 때 대기서버쪽에서 스타트가 fail이 난다. 그 때, 올라갈 때 (반대편으로 failover될 때) 키의 위치에 가서 restore해준다. 개괄적인 동작 방식 액티브에서 키를 백업 명령어로 떨어뜨려 준다. 그러면 페일오버 위치에(복제든.. 2023. 4. 16.
MSSQL system db data 경로 변경 방법 목표 E 드라이브에 포함된 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F 드라이브로 이동 현재 시스템 DB 파일 위치 확인 (SELECT name, physical_name AS CurrentLocation, state_desc FROM sys.master_files) 쿼리문 실행 이동할 파일에 대해 다음의 쿼리문 실행 ALTER DATABASE msdb MODIFY FILE ( NAME = MSDBData , FILENAME = 'F:\DATA\msdbdata.mdf' ) ALTER DATABASE msdb MODIFY FILE ( NAME = MSDBLog , FILENAME = 'F:\DATA\msdblog.ldf' ) msdb 데이터의 경로를 변경한다. 실제 변경할 파일(DB)의 위치를 옮겨준다. *주의 : 파일을 옮.. 2023. 4. 16.
SQL DB 경로 확인(MSSQL - user, system db) 위 4개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다. 우클릭 - 속성 여기서 master, model, msdb, temp 모두 확인한다 C 드라이브가 아닌 다른 경로로 되어 있어야 한다. 4가지 모두 E:\에 들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도 확인하고 실제 폴더 가서도 확인해야 한다. 쿼리문 : SELECT name, physical_name AS CurrentLocation, state_desc FROM sys.master_files 실행하면 실제 경로가 나온다. 원하는 아이디 하나만 찾는 경우 쿼리문 SELECT name, physical_name AS CurrentLocation, state_desc FROM sys.master_files WHERE database_id = DB_ID('master'); 2023. 4. 16.
리눅스 gid, uid 값 변경하기 리눅스에서 특정 사용자의 UID 와 GID 를 변경한 후 반드시 해당 사용자에게 속한 모든 파일들의 UID 와 GID 도 변경해줘야 함. 기존 UID 와 GID 값으로 계속 남게되어 일종의 누구 소유인지 모르는 미아 파일(?)이 됨. 여기서 UID 란 User Identifer 의 약자로 특정 사용자를 나타내는 고유 숫자이며 GID 는 Group Identifer 의 약자로 특정 그룹을 나타내는 고유 숫자임. 일종의 민증과 같은 역할인데 /etc/passwd 에서 확인할 수 있음. 리눅스 버전마다 다르지만 보통 16 bit 로 구성되며 0 ~ 65530 | 65535 범위의 값을 가짐. 이것도 리눅스 버전마다 다르지만 보통 0 ~ 100 | 1000 까지 OS 에서 사용하는 UID, GID 임. 0 은 .. 2023. 4. 16.
리눅스 ext4, xfs 파일시스템 체크 및 복구 방법 ext4, xfs 파일 시스템 체크 및 복구 방법 파일 시스템 점검 및 복구(e2fsck) ‘e2fsck’ 명령어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 점검 및 복구를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fsck’의 확장 명령어라고 할 수 있으며,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거의 모든 종류의 파일시스템의 점검과 복구를 가능케하는 명령어이다. ‘e2fsck’ 명령어 사용 방법 e2fsck -f /dev/sdb1 -f : 파일시스템이 이상이 없더라도 강제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점검 할 때 사용 e2fsck -j ext3 /dev/sda1 -j :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작업할때 사용 하는 옵션. 저널링 파일 시스템(보통 ext3)를 대상으로 작업할때 옵션이 아니라 필수 해줘야 하는 옵션 e2fsck -j ext3 -fv /dev/.. 2023. 4. 16.
리눅스 root 계정 원격 접속 차단 방법 ‘root’계정 원격 접속 차단 방법 ‘vi /etc/ssh/sshd_config’ 명령어로 파일 편집 ‘root’로 1차적인 접속이 불가능 하다면 다른 계정으로 접속 후 ‘su’명령어로 계정 전환 ‘PermitRootLogin no’ 설정 확인 – ‘wq!’ 명령어로 저장 후 종료 ‘systemctl restart sshd’ à ‘systemctl status sshd’ 명령어로 재실행 후 상태 확인 ‘putty’를 통한 원격 접속 확인 root 계정 거부 처리 확인 가능 2023. 4. 16.
리눅스 tune2fs 명령어 사용법 tune2fs 명령어 사용 방법 ‘tune2fs’ 는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변경가능한 파라미터값을 설정하는 명령어 파일시스템의 파라미터값을 변경함으로서 파일시스템을 튜닝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 사용 형식 tune2fs [ -l ] [ -c 최대 마운트 횟수] [ -e 에러 발생시 반응 ] [ -i 각 점검간의 간격 ] [ -m 예약 블록 퍼센트] [ -r 예약 블록 갯수 ] [ -u 사용자 ] [ -g 그룹 ] 장치명 특정 파일시스템의 수퍼블록정보 확인하기 tune2fs –l /dev/sda1 dumpe2fs –h 명령어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결과 출력 특정 파일 시스템의 최대 마운트 횟수 설정 파일시스템의 최대 마운트 횟수를 변경하려면 –c 옵션 사용 tune2fs –c.. 2023. 4. 14.
728x90
반응형